내가 처음으로 인터넷을 접한 건 1993년으로 기억한다.
그 전에도 교수님이 사무실에서 ftp로 자료 끌어오시는 걸 보긴 했지만, 그건 구경일 뿐이었고…
이런 화면을 처음 구경했을 때는 혁명이었음
그 이전 시절부터 난 007 덕후였는데, 지금 보면 덕력을 발휘(?)할 방법이 크게 없는 시절이었다.
1. 영화
정식으로 007 VHS가 우리나라에 출시된 게 중딩 무렵부터였던 것 같다.
그 전에는 아예 007 영화가 몇 편인지도 제대로 몰랐다.
[리빙데이라이트] 개봉 무렵 <스크린> 같은 잡지에 [007] 영화에 대한 기사가 나오면서 비로소 제목들을 알 수 있었다.
그 잡지를 소중하게 간직했던 기억이 난다.
조여드는 위기, 숨막히는 흥분, 투명한 사랑!
2. 소설
내가 소유했던 최초의 007 소설은 [살인번호]였다.
노란색 표지의 소년판이었는데, 의외로 번역이 잘 된 편으로 기억한다.
제목부터 해설까지 일본 번역서의 중역이란 티가 나긴 했지만…
이걸 봤다는 건 아니고, 이걸 중역한 책을 봤…
고딩때인가 존 가드너의 007 소설 세 편이 출간되었다.
서점에서 신간들을 뒤지다가 그 세 권을 발견했을 때 쾌재를 불렀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세 권 모두 분실했는데, 정말 아깝기 짝이 없다… ㅠㅠ
소설 007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 작품
3. 주제곡
예전엔 레코드 가게에서 곡당 500원 정도에 테이프에 노래를 녹음했었다. 1
OST가 나오고 또, 다행히 그 LP 판이 레코드 가게에 파는 경우는 녹음도 할 수 있었다. 2
라디오에서 하는 영화음악 방송에서 새로 출시된 주제곡을 녹음하는 건 3횡재하는 일이었다.
[살인면허]는 영화 개봉 전에 주제곡을 들을 수 있었는데, 전파 사정으로 음질이 엉망이었던 기억이 난다.
그러다가 007 영화들의 VHS가 출시되기 시작하자 그것을 정성들여 녹음했다.
Line out, Audio out 등의 개념도 없어 오로지 반복 작업만으로 결과물을 만들었다.
[황금총을 가진 사나이]는 정말 힘들게 편집했었다.
프리 타이틀 액션 시퀀스에서 총소리 잔향음과 주제곡이 그대로 연결되는데, 이걸 잘라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했다. 4
가수 개인 앨범을 샀는데, [썬더볼] 처럼 영화 OST 수록곡과 완전히 다른 경우는 나름대로 멘붕이었다.
참으로 덕질하기 좋은 세상이 된 것 같다. 헤헤헤.
007 영화들의 처음과 마지막 프레임들… (2) | 2015.03.25 |
---|---|
[킹스맨]에서 오마주된 007 영화들… (4) | 2015.02.15 |
인터넷 이전 시절의 007 덕질에 대한 소소한 기억들… (2) | 2014.12.27 |
[스펙터]에서 미스터 화이트는 어떤 모습으로 나올까? (1) | 2014.12.14 |
[스펙터]에 미스터 화이트 복귀가 확정적이군화! (0) | 2014.12.13 |
007 소설에서의 "스펙터"의 귀환은 언제였을까? (3) | 2014.12.09 |
본문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