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컴퓨터에서 관리되는 시간은 굉장히 정확하다.
메인보드에는 RTC[각주:1] 칩이 있어 전원을 꺼도 시간은 확인되고, 시간 정보는 수시로 타임 서버와 동기화한다.
코인 배터리로 RTC가 동작되기 때문에 배터리 누액으로 인해 메인보드가 망가질 일도 거의 없다.
OS에서는 타임 서버/RTC의 시간을 시간대와 함께 계산해서 관리해준다.
그런데, 처음부터 시간이 이렇게 정확하게 관리됐던 게 아니다.
오히려, 정확하기는 커녕 시간 자체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
내가 처음으로 접했던, MSX와 연계된 RTC의 기억들은 아래와 같다.
1. MSX
내가 처음 가져본 컴퓨터는 금성전자에서 판매한 FC-30이었는데, 이건 시간 개념이 없던 제품이라 패스.
제대로 시간 개념이 있는 컴퓨터를 처음 가져본 것이 대우전자에서 판매한 MSX 컴퓨터 IQ-1000이었다.
이 기종은 본체에 RTC가 없었다.
따라서, 처음 MSX-DOS를 시동하면 사용자가 시간을 직접 입력했어야 됐고, 전원을 끄면 시간 정보도 사라졌다.
좀 더 웃긴 것은, 외장형 플로피 드라이브를 장착해야만 MSX-DOS를 사용할 수 있었다는 점.
즉, 그냥 켜면 바로 BASIC이 동작하고 파일을 기록할 방법은 (역시) 외장형 카세트 테이프[각주:2] 밖에 없었다.
2. MSX2
다음으로 산 컴퓨터가 IQ-2000.
국내 출시된 컴퓨터 중에는 아마도 처음으로 RTC가 장착된 컴퓨터였을 것이다.
어이 없는 점은, 이 RTC의 시간 정보를 MSX-DOS에서 직접 사용할 수 없었다는 것.
즉, 부팅 이후 BIOS에서 관리하는 시간과 RTC의 시간이 별도로 존재했다[각주:3].
당시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에 RTC의 시간을 읽어 BIOS 시간으로 넘겨주는 프로그램을 기고했던 기억이 있다.
지금은 해당 컬럼을 검색도 할 수 없고, 팁 형식으로 조그맣게 실어주는 곳이었지만, 초딩에게는 감동의 쓰나미였다.
그리고, 지금 생각해보면 당연히 구현됐어야 할 기능이다.
한 컴퓨터 내에 2개의 서로 다른 시계가 동기화되지도 않고 돌아간다니!!!
WoW64 환경에서 x86용 프로그램 개발시 팁들 (0) | 2016.02.22 |
---|---|
MS Edge는 아직은 메이저 브라우저로는 5% 부족 (0) | 2015.11.15 |
VC++에서 memset()의 최적화는 의미가 별로 없는 듯 (0) | 2015.07.19 |
아이콘 제작 삽질기 (0) | 2015.07.10 |
Shift/Ctrl + Space로 한영/한자 키 대신하기 (0) | 201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