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애니 [플루토] 티저 포스터

 

만화 <플루토>

<마스터 키튼>, <몬스터>, <20세기 소년> 등의 굵직한 작품들을 그린 우라사와 나오키가 2003년부터 연재한 만화가 <플루토>다.

이 작품은 우라사와 나오키의 작품 중에 유일하게 원작이 있는 작품이다.

 

원작(들)에서의 플루토는 술탄 왕국의 (쫓겨난) 왕이 만든 로봇으로 가장 강한 로봇 7대를 파괴하려고 한다.

그 중 한 대가 아톰이고, 아톰은 이 과정에서 성장한다는 것이 주요 플롯[각주:1]이다.

 

지상 최대의 로봇 플루토

 

데츠카 오사무의 열렬한 팬이었던 우라사와 나오키가 이 작품을 기반으로 새롭게 그린 작품이 <플루토>인 것이다.

7대의 로봇을 파괴한다는 줄거리는 물론이고 각 로봇들의 설정까지 원작의 것을 거의 그대로 가지고 왔다.

 

하지만, <철완 아톰>에서 가져온 것은 여기까지고, 실제로 풀어내는 내용은 훨씬 더 심오한 것들이다.

아예 플롯의 절반 이상을 아톰이 아니라 게지히트가 리드할 정도로 나오키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려내었다.

 

누구나 집에 한 세트는 갖고 있다는 <플루토>

 

걸작 [블레이드 러너]도 그러하였듯이, 이러한 작품에서 크게 다루는 진짜 주제는 인간의 정의를 어디까지 확대할 수 있는가이다.

그 관점에서 이 작품은 인간과 거의 같은 로봇이 죽었다 살아난다면?, 로봇이 자신이 로봇인지 모른다면? 등의 내용을 훌륭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나, ChatGPT를 필두로 하는 LLM 모델들이 유명세를 떨치며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한다면?이란 주제가 가깝게 느껴지는 이 때 이 애니메이션이 공개된 것은 참으로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애니메이션 [플루토]

 

애니 [플루토]는 이러한 원작을 그야말로 거의 그대로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그려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원작의 연출과 컷을 거의 그대로 반영하여 그렸고, 구성 역시 원작의 여덟 권과 동일하게 총 8화로 구성되어 있다.

잘 뜯어보면 아주 조금씩 다른 내용[각주:2]이 보이기는 하지만, 그걸 누가 신경 써...

 

따라서, 이 작품은 원작 <플루토>의 특성을 온전히 영상에 담은 작품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원작의 메인이 액션이 아니라 드라마였던 진행도 충실하게 구현되었다.

 

덕분에 캡쳐 스킬[각주:3]을 조금만 활용하면 그 유명한 짤이 아래와 같이 초고퀄로 변신하는 기적을 볼 수도 있다.

 

 

덧1. 물론 위의 짤은 패러디이고 원본 대사는 아래와 같음. 스포일링이긴 하지만 원본 짤도 워낙 유명해서 패스

 

 

덧2. 로봇의 이름 "플루토"는 (지금은 행성에서 퇴출된) 명왕성(Pluto)에서 따온 게 아니라 플루토늄에서 따왔다고 한다.

 

덧3. 1980년에 나온 [지상 최대의 로봇]은 유튜브에 공개되어 있으며,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지상 최대의 로봇] 전편

 

- [지상 최대의 로봇] 후편

 

  1. 원작에선 이 과정에서 아톰의 힘을 10만 마력에서 100만 마력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내용이 있었고, 이후에 힘을 안 늘리고 지혜로 싸우는 것으로 변경됨 [본문으로]
  2. 예를 들면, 마지막 장면 쯤에 나오는 '펠티어 효과'는 원작에는 없는 단어임 [본문으로]
  3. 넷플릭스에선 캡쳐를 막았지만, 우리는 늘 답을 찾을 것이다... [본문으로]
반응형

'영화 > 애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니메 [가이]에 대한 짧은 기억  (0) 2012.08.12
[마크로스2] 오프닝 잡담…  (0) 2012.08.05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