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vice용 동영상 변환기를 20.22로 업데이트 했다. 인코딩 HW에 적용했던 MainConcept HEVC 인코더에 대해 좀 더 정확한 기능을 적용하였다. 변환기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여전히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따위는 없다. 64bit only / password: teus.me 관심 있는 분들의 수많은 지적과 질타 부탁드립니다. 이 프로그램은 여러분 덕에 완성되어 갑니다. iTrans의 상세한 기능 및 특징 #일반 1. 대상 비디오 파일을 목록에 드롭한 뒤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알아서 변환함 지원 포맷: AVI, MKV, MP4(mov), MOV(qt), MPG(mpeg/dat/vob/m2ts/mts/mxf/ts/tp), Real Media, OGM, FLV, WMV(asf),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iDevice용 동영상 변환기를 20.12으로 업데이트 했다. 19.xx대에 있었던 소소한 오류들을 고쳤고, UI 등에 세세한 수정들을 적용했다. 가장 큰 변화는 인코딩 HW에 MainConcept HEVC 인코더를 추가한 점이다. 또 하나의 변화는 오디오 AAC 인코딩 시에 Nero AAC Encoder와 iTunes 외에 libfdk_aac를 추가했다는 점.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libfdk_aac를 적용하여 직접 컴파일한 ffmpeg.exe가 있어야 한다. 이 ffmpeg.exe를 tools\ffmpeg_fdk_aac에 넣고 실행하면 AAC 인코더로 libfdk_aac도 사용할 수 있다. 변환기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여..
처음 구매했을 때는 꽤 삽질이 있었지만, 이후 대단히 만족했던 MainConcept의 HEVC 인코더가 2.0으로 업데이트 됐다. 재빠르게 업데이트한 뒤에 릴리즈 노트를 읽어보니 뭔가 변화가 있었다. 일단 MainConcept의 SDK 버전이 12.x에서 13.1로 업데이트 되었다. 이 부분은 13.x의 업데이트 내역이 공개되어있지 않아 그러려니 하지만, 뭐가 달라져도 달라졌겠지... 중요한 것은 인자가 하나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똑같이 바꾼 뒤에 인코딩을 해보니... 실패했다... 또 다시 시작이다 싶어서 다양한 테스트를 돌려보고, 오류 리포트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다 뭔가 쌔한 느낌에 인코딩 확장자를 mkv에서 mp4로 바꿔보니 아무 문제 없이 잘 인코딩된다. 결론은 HEVC Encoder P..
ffmpeg은 그야말로 만능 비디오/오디오 처리 도구다. 수많은 프로젝트들이 ffmpeg을 사용해서 만들어졌으며, 소스가 공개되어 다양한 커스텀 버전도 존재한다. 오히려 너무 기능이 방대해서 오히려 불편을 겪을 때가 있을 정도다. 예를 들면, MainConcept의 HEVC 인코더는 ffmpeg 플러그인 형태로 배포 되는데, 이게 순정품(?)과 꽤 차이가 있다. 커스텀 버전의 ffmpeg을 사용해야만 인코딩을 할 수 있는데, 이게 순정품(?)의 기능 중 없는 게 있다. AVS 입력이 완벽하지 않기도 하고, 정확히 어떤 모듈까지 사용됐는지 일일이 찾기도 번거롭다. 이런 경우는 누구의 잘못도 아니지만, 여튼 사용하는 입장에서 불편한 건 사실이다. 이럴 때 손쉽게 쓸 수 있는 방법은 ffmpeg 두 버전 간에..
구매한지 3개월만에 드디어 정상동작을 확인한 MainConcept HEVC 인코더를 테스트해봤다. 테스트는 이전에 했던 테스트들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하여 결과물의 품질을 비교했으며... 이전에 데모버전의 테스트를 위해 만든 인코더의 기능을 좀 보강해서 진행했다. MC의 인코딩을 위해선 따로 컴파일한 FFmpeg이 필요한데, 이 버전이 일부 avs는 잘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견됐다. 이를 위해 아예 FFmpeg을 직접 컴파일할 수도 있었지만, 귀차니즘으로 그냥 FFmpeg들을 파이프로 연결하도록 보강. 1. color range x264/x265는 기본적으로 full range를 사용하지 않고 limited range(16-235)로 인코딩한다.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기 위해 limited range 옵..
처음 MainConcept HEVC 인코더를 구매했던 것이 2월 15일이었으니, 무려 3개월의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원격접속으로도 원인을 추적하고, 새 버전을 두 번 다운받았지만,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는 여전했다. 그러다 드디어 3개월만에 모든 문제를 수정했다는 메일을 받았다. 마음을 가다듬고 기존의 모든 플러그인을 죄다 제거한 뒤에 PC를 리부팅하고 다시 설치를 시작했다. 설치 과정에서 나오는 PC 보호 경고 메시지는 반갑기까지 하다. 먼저 확인해본 것은 인증 모듈이 잘 동작하는지 여부. Error: 0이 드디어 표시됨으로써 인증 관련 문제가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 바야흐로 테스트 인코딩... 잘 된다. 이제부터 본격 인코딩 효율이나 동작속도 등을 테스트할 예정.
제품을 구매하고, 한달 넘게 기다리고 있는데, 드디어 반가운 메일이 왔다. 플러그인의 새 버전을 다운받으라고 하는 것 기쁜 마음으로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니 반가운 글자들이 보인다. 그런데, 이게 뭥미? User name, Password? 아무리 생각해도 계정 같은 걸 만들었던 기억이 없는데... 그래도 혹시나 몰라 예의를 갖춰 메일로 물어봤다. 그러자 돌아온 기계가 쓴 거라 해도 믿을 것 같는 답장. 1. 구매했을 때 받은 메일 봐 2. 그리고 지난 버전 다운받는 링크 알랴줌 혹시나 내가 뭔갈 놓쳤나 싶어 바로 그 메일을 뒤져봤지만, 당연히 계정 정보 같은 건 없다. MainConcept 쪽의 시스템은, 다운링크는 주되, 별도의 인증 프로그램으로 인증받는 구조이다. 메일로 설명하니 드디어 뭔가를 보내..
한달 전쯤 MainConcept 사의 HEVC 인코더를 구매하는 것을 검토했었다. 언제 나올지도 알 수 없고, 인코더 성능을 확신할 수도 없는 Big Navi보다 이 쪽이 더 현실적인 선택이기 때문이었다. 테스트 결과는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인코딩 속도는 HW 인코더와 x264의 중간 정도였는데, 화질은 x265에 상당히 근접하는 수준을 달성했다. 그리하여 Big Navi를 포기하고, MainConcept HEVC 인코더를 구매한 뒤, 당근을 통해 RTX2070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송장(Invoice)을 받고 자세히 읽어보니 회사가 다름 아닌 독일 아헨에 위치해있다. 이렇게 반가울데가! 하지만, 언제나 현실은 냉혹한 것... 정식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나니 인코딩이 되지 않는다[..........]..
이전 포스팅(AMD의 RX 6700은 언제쯤 나올 것인가)에서도 언급했듯이 몇달간 AMD의 RX 6700을 기다리고 있었다. RTX30 시리즈의 NVENC는 이전 버전과 동일했기 때문에 아무런 메리트가 없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MainConcept의 HEVC 인코더 데모 버전을 돌려본 뒤 생각이 바뀌었다. 관련 포스팅: MainConcept HEVC 인코더는 쓸만할까? (부제: Big Navi 사지 말까?) 이 인코더는 CPU+GPU Hybrid 인코딩을 지원하는데, 성능과 품질 모두 만족스러운 수준이 나왔다. 문제는 이 인코더는 AMD의 GPU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 고심 끝에 RTX 3060을 노리고 공개일 새벽부터 열심히 뛰어들었지만, 결국 구매에 실패하고야 말았다. 구매까지 갔다가 입금하려니 ..
엔비디아의 GeForce30 시리즈에 탑재된 NVENC는 20 시리즈의 그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AMD의 Big Navi에 탑재된 VCN은 기존 버전에 비해 향상되었다고 해서 기대하고 있었다. 그런데, 글카의 가격을 생각했을 때 이 업글이 합리적인지 다시 한번 판단해보기로 했다. 대안으로 고민해본 대상은 MainConcept의 HEVC 인코더 FFmpeg 플러그인. MainConcept 사는 SDK, FFmpeg 플러그인 등등 다양한 방식의 인코더를 판매한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QSV나 NVENC를 활용한 SW+HW 하이브리드 인코딩. 이 중 나에게 딱 맞는 놈은 FFmpeg 플러그인이다.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언제나와 동일하다. 영상 하나를 다양하게 인코딩해본 뒤 SSIM을 계산해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