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신글 리스트 커버

인텔 Arc A750 설치 삽질기 및 HEVC 인코딩 성능

인텔의 야심작(?) Arc는 A750과 A770 두 가지 모델이 출시되었다. 상위 모델인 A770이 겨우 RTX3060과의 경쟁제품인 안습의 상황이지만,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지르고야 말았다. 게임을 거의 하지 않아 약간이라도 더 저렴한 제품인 A750을 구매했다. 박스 포장은 깔끔하다. 기본적으로 글카 자체가 예쁘게 나왔기 때문에 박스를 열었을 때 일단 좀 있어보인다. 그리고 대망의 글카 본체. 설치 이 카드는 집 세컨 PC에 설치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고려했다. 이 PC에는 문제(?)가 하나 있는데, 예전에 MBR 파티션으로 포맷해놓은 드라이브를 계속 사용해오고 있었던 것. 언젠간 포맷할 거란 생각만 하면서 그냥 써오고 있었는데, 드디어 벽에 부딪혔다. 인텔 홈페이지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UEFI/..
미디어
2023.03.26

Notepad2-mod 4.23.03 r4740 한국어화 버전 공개

오류를 수정하고 다양한 성능 개선이 반영된 버전을 공개한다. r4740에서는 계산 기능을 더욱 강화했으며, 인공위성 등에서 사용되는 TLE 포맷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언제나 그렇듯 x86/x64/avx2 버전이 함께 들어있다. password: teus.me ▲ 히스토리 2023.3.25: 4.23.03 r4740 공개 - 수식 계산 기능 강화: and, or, rand, min, max, if 등 다양한 수식이 추가됨 (상세 내용 링크) - Scintilla 라이브러리를 5.3.4로 업데이트 (관련 링크) - AutoHotKey API 목록을 2.0.2로 업데이트 (관련 링크) - 파이썬의 PEP 701 f-string 처리 오류 수정 (관련 링크) - 위성 위..
Notepad2
2023.03.25

Notepad2에 계산기 기능 추가 삽질기 #2

TinyExpr을 활용하여 계산 기능을 추가하고 보니 2%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연산자의 종류도 좀 제한적이었고, 함수의 종류도 좀 부족해보였다. 뒤져보니 (당연히도) 이걸 발전시킨 프로젝트인 TinyExpr++가 있었다. 이 라이브러리는 전체적인 구조는 기존과 거의 같지만 C++로 되어있으며, 인자가 여러 개인 함수도 추가되었다. 심지어 Excel에서 사용되던 함수들도 여럿 도입되었고, 기존의 함수와 Excel의 함수가 모두 있으나 이름이 다른 경우는 둘 다 구현되기도 했다. min(), max(), sum()과 같은 함수들은 인자를 1개에서 7개까지 다양하게 입력받을 수도 있다. 코드 수정 방식에 대한 고민 결과 이전 글에서도 썼듯이 처음 구현할 때는 ScintillaWin.cxx 파일을..
Notepad2
2023.03.25

Notepad2에 계산기 기능 추가 삽질기

발단은 한 줄의 댓글이었다. 처음엔 이거 웬 엉뚱한 얘긴가 했는데, 생각해볼수록 흥미가 생기는 주제였다. 회사에서 일하면서 메모장에 내용을 기록하다가 계산하기 위해 계산기를 띄우는 일은 자주 벌어지기 때문이었다. 일단은 깃헙의 Notepad2-mod 리파지토리 쪽에 이 기능에 대해 의견을 물어봤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미 그러한 프로젝트가 깃헙에 있다는 답글이 올라왔다. 심지어 이 프로그램은 TortoiseGit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여기서 사용한 방식은 내가 원하는 스타일은 아니었다. 수식을 입력하면 상태표시줄에 계산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이었는데, 나는 결과를 문서에 포함시키고 싶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는 TinyExpr인데, 이것만 적절히 적용하면 수식을 해석하는 부분은 손쉽..
Notepad2
2023.03.12

Notepad2-mod 4.23.01 r4700 한국어화 버전 공개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류를 수정하고 다양한 성능 개선이 반영된 버전을 공개한다. 특히 r4700에서는 수식을 입력한 뒤 Ctrl+Enter를 누르면 계산 결과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기능을 추가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언제나 그렇듯 x86/x64/avx2 버전이 함께 들어있다. password: teus.me ▲ 히스토리 2023.1.1: 4.23.01 r4552 공개 - 파이썬에서 PEP 701 nested f-string 지원하도록 수정 (관련 링크) - HiDPI 아이콘 전면 개정 2023.1.23: 4.23.01 r4597 공개 - 도구(Tools) 메뉴 신설 및 일부 기능 이동 (관련 링크) - RTF로 복사 기능 구현 (관련 링크) - Sci..
Notepad2
2023.03.11

루트 인증서 이슈에 대한 구라제거기의 접근법은...

얼마 전 보안 전문가 블라디미르 팔란트 씨가 쓴 글(번역글)이 한국의 인터넷 보안의 현실을 뼈아프게 지적했다. 뭐, 그래봤자 KISA는 KISA대로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보안 프로그램 개발 업체들은 역시 하던 대로 하는 것 같지만... 그 글이 올라온 이후 많은 분께서 대응을 요청도 해주셨고, 이와 관련해서 주변 개발자들과 토의도 했다. 그 과정과 결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구라제거기에서 기술적으로 루트 인증서 삭제는 가능한가 CertDeleteCertificateFromStore() 함수로 삭제 가능함. 단, 관련 소스가 충분하지 않고 도움말이 다소 부족해서 정확한 사용법을 찾는데 시간은 걸렸음. 2. 구라제거기에서 루트 인증서를 삭제할 것인가 삭제하지 않음.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인증서..
구라제거기
2023.03.06

구라제거기[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삭제] 7.10 업데이트

PC 뱅킹의 주적은 PC 뱅킹 프로그램이다. PC 뱅킹을 하고 나면 컴퓨터가 미친 듯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필두로 컴퓨터를 느려지게 만드는 악의 무리들이 너무나 많다. 전통의 명가(?) nProte**부터 컴퓨터 발목잡기의 거목 안* 온라인 시큐**, 그 외에도 수많은 잡 구라들… KISA에서 I사 보안모듈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발표할 정도로 완성도가 엉망인 경우도 있다. 보안 취약점을 갖고있는 보안 프로그램이라니… 무슨 열림교회 닫힘도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몰래 설치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예 (강제로) 동의를 받아 설치된다. 마치 건물 철거 강제 집행하면서 동의서 서명당하는 기분이다 게다가 보안 전문가인 블라디미르 팔란트 씨의 글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설치된 루..
구라제거기
2023.03.06

레고 벌크 블록들, 안녕.

2013.02.21 - 레고로 설계해본 라즈베리 파이 케이스 예전 블로그 글을 찾아보니, 벌써 10년이 지난 일인데... 10년 전에 처음 라즈베리 파이를 샀을 때 케이스도 주문했지만, 레고로 만들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공산품으로 만들어져있는 케이스랑은 뭔가 좀 다를 것 같았다. LDD로 설계한 뒤, 레고 벌크 블록을 사서 조립하여, 한동안 라즈베리 파이 케이스로 잘 썼었다. 당시엔 나도 레고 조립은 접착제 쓰는 거 아니란 편견이 좀 있었는데, 후에 그걸 후회하기도 했고... 시간은 10년 넘게 흘러 아이들은 다 커서 집을 떠났고, 이제 더 이상 레고를 집에 둘 이유가 없어졌다. 10년이 지나면서 레고 블록들의 상태도 그닥 좋지 않기도 했고... 아이들의 짐들을 정리하면서 사실상 몇년째 방치만 되어있었..
farewell
2023.03.05

구라제거기가 루트 인증 기관 목록도 정리해야 되는 건가?

독일에 사는 보안 전문가 블라디미르 팔란트(Wladimir Palant) 씨가 한국 보안 체계에 대해 분석한 글들이 화제다. 한국의 보안 체계에 대해 상당히 높은 이해를 가지고 심도 있는 비판을 하고 계신다. 그런데, 이 분의 최근 글을 읽고서(저자 허락 하에 한국어로 번역되고 있음) OS의 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서 목록에 뭔가 신뢰하면 안 될 것 같은 인증서들을 설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짜 문제는 이 인증서들은 보안 프로그램(이라고 쓰고 구라라고 읽는다)을 제거 하더라도 삭제되지 않는다는 것... 즉, 이러한 보안 프로그램들을 삭제한 뒤에 인증서 관리 기능을 실행해서 직접 인증서를 제거해줘야 진짜 제거가 끝난다는 것이다. 이런 작업을 구라제거기에서 해달라는 요청을 몇몇 분들께 받게 되었다...
구라제거기
2023.02.12

구라제거기[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삭제] 7.03 업데이트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PC 뱅킹의 주적은 PC 뱅킹 프로그램이다. PC 뱅킹을 하고 나면 컴퓨터가 미친 듯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필두로 컴퓨터를 느려지게 만드는 악의 무리들이 너무나 많다. 전통의 명가(?) nProte**부터 컴퓨터 발목잡기의 거목 안* 온라인 시큐**, 그 외에도 수많은 잡 구라들… KISA에서 I사 보안모듈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발표할 정도로 완성도가 엉망인 경우도 있다. 보안 취약점을 갖고있는 보안 프로그램이라니… 무슨 열림교회 닫힘도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몰래 설치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예 (강제로) 동의를 받아 설치된다. 마치 건물 철거 강제 집행하면서 동의서 서명당하는 기분이다 그래서 간단히 만들었다..
구라제거기
2023.02.05

SSD 수명을 TBW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예측해보자

잘 알려져있다시피 SSD의 수명은 무한하지 않다. HDD과 SSD는 수명이 비슷하게 유한하지만, 둘의 패턴은 꽤 다르다. HDD가 수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플래터 면의 손상이다. 흔히 말하는 배드 섹터 얘기다. SSD의 수명은 NAND 셀 하나하나의 수명과 관련이 있다. 셀 하나의 수명에 용량을 곱한 정도의 크기만큼을 쓰는 것이 SSD의 수명이다. SSD 컨트롤러가 하는 중요한 일 중 하나는 셀 하나하나의 수명이 다해가기 전에 다른 셀로 데이터를 옮기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정형화한 값이 바로 요즘 대부분의 SSD 스펙에 명시되어있는 TBW이다. AnandTech에서 이 식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여기서 분모 쪽은 실제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여 계산하니 사실상 상..
잡담
2023.01.24

이미지 크기를 최대한 줄여주는 iPress 3.04 업데이트

온라인에서 이미지의 크기를 줄여주는 많은 사이트들이 있다. TinyPNG가 가장 잘 알려져있는데, 최근에는 여기서 JPEG도 지원하도록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런데, 이런 사이트를 통해 이미지를 압축하려면 내가 가진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왜 내 개인 이미지를 온라인에 올려줘야 되지? 그리고, 그 사이트들이 내 이미지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나? 사실, 이 사이트들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대동소이 아니, 동일하다. 본 블로그에서도 몇번 소개했던 mozjpeg, ZopfliPNG, pngquant, Gifsicle에 웹 프론트엔드를 얹은 서비스들이다. 다시 말하면 이 프로그램들을 로컬에서 실행하면 동일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으며, 업로드 제한 따윈 걱정할 필요도 ..
자작 프로그램
2023.01.22

AMD 메인보드에 dTPM 모듈 설치하기

이전 글에서도 썼지만, 윈도우11을 라이젠 CPU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fTPM은 뭔가 좀 많이 찝찝하다. 스터터링 이슈를 완전히 잡지 못한다면 굳이 나서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선택을 하는 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궁극적인 솔루션은 AMD에서 완벽한 마이크로코드를 제공하고, MS에서는 윈도우11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지만... 현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은 메인보드에 맞는 dTPM 모듈을 장착하는 것 같다. 이를 위해선 일단 메인보드 메뉴얼을 확인한다. 메인보드마다 장착 가능한 TPM 모듈은 천차만별이기 때문. 내 보드의 경우 아래 캡쳐와 같이 SPI 방식의 TPM 모듈을 지원한다. LPC 방식의 TPM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도 많은데, 이 두 방식은 아예 호환성이 없다. 만약 같은 SPI 방식인데 핀맵만 다르..
잡담
2023.01.21

라이젠 컴퓨터에서 스터터링 문제 해결 삽질기(fTPM 이슈)

내 CPU는 라이젠 5900x다. 나름 이 계열에서 최상위 라인업 쪽에 속하는 프로세서이고, 성능도 만족스럽다. 하지만, 윈도우 11로 업데이트 한 뒤 왠지 찝찝한 이슈가 벌어지고 있었다. 컴퓨터가 툭툭 멈추는, 흔히 스터터링(stuttering)이라 부르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게임을 특별히 하는 것도 아닌데, 이게 체감될 정도였다. AMD에서도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고, 결국 fTPM 모듈의 문제를 인정하고 마이크로코드를 업데이트했다. (AMD AGESA 1.2.0.7) 이 업데이트 설치 이후 별 문제 없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현실은 언제나 냉혹한 것... 이전과 별 다름 없이 스터터링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문제를 제대로 해결해보기 위해 아예 윈도우10과 윈도우11을 돌아가며 구동하면서 ..
잡담
2023.01.21

정수 범위에서 제곱근의 최적화된 구현 방법은?

C/C++를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부동소수점의 제곱근 함수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정수 범위에서 제곱근을 구할 때는 보통 이 제곱근 함수를 활용하여 간단히 구현한다. 그런데, 순수하게 정수 범위에서 동작하는 제곱근 함수가 있다면 조금은 더 빠르게 동작할 것 같다. 파이썬의 경우 아예 이러한 함수를 stdlib에서 지원한다. 정수 범위에서 제곱근을 구하는 아이디어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다. 1. 뉴턴의 근사법 활용 unsigned ISqrtByNewton32(const unsigned n) { unsigned x = n; unsigned y = (x + 1) / 2; while (y < x) { x = y; y = (x + n / x) / 2; } return x; } 2. 곱하기 연산 없이..
알고리즘
2022.12.24
반응형